1. 디스크 확인sudo fdisk -l물리적으로 연결된 하드디스크가 제대로 인식이 되고 있는지, 경로는 어디인지 확인부터 해야 한다.제대로 하드디스크가 인식이 된다면 위처럼 /dev/sdb 또는 /dev/sda 경로로 용량과 같이 뜬다. 2. 파티션 생성ubuntu는 파일 시스템 상 4TB 이상의 디스크를 한번에 마운트 할 수 없어 정상적으로 마운트하려면 조금 다른 과정을 거쳐야 한다.sudo parted /dev/sdb이렇게 하면 (parted)가 생기게 되면서 파티션 초기화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mklabel gptunit TBmkpart primary 0.00TB 8.00TBprint순서대로 명령어들을 입력 해 준 후 print를 하면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q"를 입력해서 par..
회사에서도 집에서도 윈도우를 메인 pc로 사용하면서 리눅스 서버에 ssh로 붙어서 사용을 하다보니 서버에서 결과물을 화면에 표시해야 할 일이 자주 있다.리눅스 서버에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를 하려면 X11 forwarding 설정을 진행 해 줘야하는데 X window 기반 GUI 프로그램을 메인 pc인 윈도우에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Xming은 X window 기반 GUI 실행 프로그램을 윈도우 pc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오픈소스라서 누구나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https://sourceforge.net/projects/xming/files/latest/download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full installation을 선택하고아이콘 생성 여부와 확장자 파일 ..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리눅스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 ssh를 사용하는데, 이 때 종종 마주하는 오류 중 하나가 위와 같은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이다. 이 오류는 접속하고자 하는 host pc의 (물리적)정보가 변경이 되었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로, known_hosts 파일을 갱신 해 주면 된다. $ ssh-keygen -R IP IP에 정보가 변경 된 host pc의 IP를 입력 해 주어 known_hosts 파일을 갱신 해 준 후 아래 메세지가 된다면 정상적으로 파일이 갱신된 것이다. .ssh/known_hosts updated. 이후 다시 ssh 연결을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
팀원 분이 오랜만에 켜 본 우분투 pc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상황.. usb로 우분투 밀고 다시 깔아 달는 말에 다급하게 구글링 해서 패스워드 초기화를 해 줬다.. 뭔가 웃기고 어이없는 날... ㅋㅋㅋㅋ 나는 pc를 부팅하면 나오는 유저 로그인 창에서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로그인이 안되는 상황이었다. 일반 계정 패스워드를 모른다는 건 root 계정의 패스워드 역시 잊어버렸다는 것... (기억하고 있을리 없음..) 일반 계정 패스워드를 초기화 하려면 root 계정의 패스워드도 알아야 하기에... root 계정 패스워드부터 초기화 하였다.. ◼️ root 계정 패스워드 초기화 1. pc를 재시작 후 부팅 시 Esc 또는 Shitf 연타(꾹 눌러도 된다고는 하는데 나는 두 개 연달아 연타하니까 진입이 되었음)해서..
한 폴더 내에 10만장 정도의 파일이 있었는데 이를 전부 삭제하고자 흔히 쓰는 rm -rf *를 사용하였지만 -bash: /bin/rm: Argument list too long 해당 오류가 발생했다. 이는 이전에 많은 양의 이미지를 한번에 옮길 때도 발생했던 문제였고 아래 포스팅으로 정리까지 해뒀기에 해당 오류 메세지가 익숙했다. https://iambeginnerdeveloper.tistory.com/177?category=916615 Ubuntu | bash : /bin/mv: Argument list too long | 파일 이동 오류 해결하기 우분투에서 mv 명령어를 사용하여 기존 폴더 내의 모든 파일을 다른 폴더로 옮기려고 했는데 파일이 너무 많고 용량이 커서 그런지 아래와 같은 에러를 뱉어냈..
우분투에서 mv 명령어를 사용하여 기존 폴더 내의 모든 파일을 다른 폴더로 옮기려고 했는데 파일이 너무 많고 용량이 커서 그런지 아래와 같은 에러를 뱉어냈다. $ mv 기존 경로/* 이동할 경로/ bash : /bin/mv: Argument list too long 내가 옮기려던 파일은 10만장 가까이 되는 이미지 파일들이었으며 용량도 어마무시했다. 하지만 폴더 이동은 해야하고 mv 명령어는 안먹히고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 하다가 폴더 이름을 바꾸는 꼼수를 써 보기로 했다. 위에서 사용한 명령어는 기존 경로에 있는 파일 목록이 mv 인자로 들어가기 때문에 개수가 너무 많아지면 한번에 처리할 수 없어서 해당 에러를 뱉는다고 한다. 때문에 mv에 인자를 주는 것이 아니라 폴더 이름만 변경하는 식으로 꼼수를 쓰..
pc에 문제가 생겨서 우분투를 한번 싹 밀고(사실 한 번이 아님.. ㅠ...) 새로 Ubuntu 20.04 LST를 설치하고 아나콘다, vscode, nvidia-driver, CUDA 설치까지 마친 후에 Yolo v5 모델을 사용하려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떴다. RuntimeError: CUDA error: no kernel image is available for execution on the device 나는 RTX3080, CUDA 11.1, CUDNN 8.0.5, pytorch 1.8.0의 환경이었으며 이전과 동일하게 yolo v5 github를 git clone 해 와서 detect.py 파일을 실행하고자 했다. 여기저기 찾아보니 nvidia-driver 문제라기 보단 pytorch ..
이때까지 마주한 압축 파일 포맷은 .zip과 .tar이 전부였는데 이번에 .7z라는 파일을 마주하게 되었다. p7zip는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7-Zip이며 압축률이 높아서 zip이나 tgz보다 작은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압축파일이니까 생각없이 unzip을 사용하여 압축을 해제하려고 했으나 당연하게도 해당 파일은 uznzip 명령어로는 압축 해제가 되지 않는다. 7z파일을 압축 해제 하기 위해서는 따로 p7zip을 따로 설치해야만 한다. 나는 Ubuntu 20.04 LTS를 사용 중이기 때문에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p7zip을 설치하였다. $ sudo apt-get install p7zip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p7zip을 설치하여도 압축해제가 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추가로 실행 시켜주..
- 리눅스 운영체제의 내부는 커널(kernel)과 셸(shell)로 이루어져 있다. 리눅스는 UNIX라는 운영체제를 본떠 만들어졌으며, 리눅스는 그 자체로 운영체제가 아니라 운영체제를 위한 커널이다. 또, 리눅스는 bash를 기본 셸로 제공한다. 리눅스에서 설정값은 파일이며 하드웨어 기기들도 파일로서 접근이 가능하며 셸 네부에서 현재 위치도 파일처럼 되어있다. 따라서, 현재 나의 위치를 확인하는 "pwd" 명령어를 자주 쓰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위의 사진과 같은 셸(shell)을 통해 운영체제의 커널(kernel)과 소통할 수 있다. 나는 인턴을 하는 동안 리눅스를 사용했으며 해당 프로토콜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했다.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리눅스를 사용할 가상 터미널이 필요했기에 나는 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