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pc에서 ssh 연결을 통해 ubuntu 서버를 사용하면 웬만한 작업은 가능하지만 가끔 ubuntu 서버의 화면 UI가 필요할 땐 mstsc를 사용하여 ubuntu에 원격 접속을 해서 사용할 수 있다. 1. ubuntu에서 xrdp 설치 확인systemctl status xrdpubuntu에 xrdp가 설치되어 있다면 위 사진처럼 정보가 뜰 것이다.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Unit xrdp.service could not be found."라는 문구가 뜰 것이다. 이 문구가 뜬다면 xrdp를 설치 해 주면 된다. 2. ubuntu에 xrdp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xrdpsudo systemctl enable --now xrdp마지막 명령어는 재부팅 시 자동으..
회사에서도 집에서도 윈도우를 메인 pc로 사용하면서 리눅스 서버에 ssh로 붙어서 사용을 하다보니 서버에서 결과물을 화면에 표시해야 할 일이 자주 있다.리눅스 서버에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를 하려면 X11 forwarding 설정을 진행 해 줘야하는데 X window 기반 GUI 프로그램을 메인 pc인 윈도우에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Xming은 X window 기반 GUI 실행 프로그램을 윈도우 pc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오픈소스라서 누구나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https://sourceforge.net/projects/xming/files/latest/download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full installation을 선택하고아이콘 생성 여부와 확장자 파일 ..
Could not establish connection to "IP" 프로세스에서 없는 파이프에 쓰려고 했습니다. vscode에서 ssh로 remote 연결 할 때 종종 발생하는 에러이다. 이는 이전에 연결했던 호스트 정보가 변경이 되는 등의 문제로 이전 호스트 정보와 충돌을 하면서 발생한다. 이때는 known_hosts 파일을 삭제 해 주면 바로 해결된다. C:\Users\{윈도우 user 이름}\.ssh -> 이 경로에 가면 아래 사진처럼 known_hosts 파일들이 있다. OLD 파일 말고 두번재 파일을 삭제 해 준 후에 vscode에서 ssh 연결을 다시 시도하면 제대로 연결 된다!
로컬을 Ubuntu로만 쓰다가 최근에 Window로 변경하였다. 당연히 Window에서 개발을 진행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WSL을 설치하여 Linux 환경을 사용하게 되었다.ubuntu를 그냥 쓰기만 했지 window에 wsl을 설치하여 쓰는 건 처음이라 이것저것 확인하고 설치하느라 굉장히 힘들었던 것 같아서 그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 WSL이란?WSL은 Linux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으로 Window에서도 Linux 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설치 전 확인 해야 할 사항들1. CPU의 가상화 여부Ctrl + Alt + Del 를 누른 후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여 (혹은 윈도우 검색 창에 작업 관리자 입력) 성능 탭으로 이동하면 CPU의 가상화가 '사용' 인지 확인해야 한다. CPU의 가상..